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이야기

[사회복지]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목적, 역할과 내용

728x90
반응형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의 복지 및 보장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주민과 민간,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지역 내 복지 문제를 해결하고 자원을 연계하는 협의 기구입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사회보장급여법에 따라 설치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목적
• 지역 내 복지 욕구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
• 민간 자원과 공공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 및 조정.
•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지원 방안을 마련.
• 지역 주민의 참여를 활성화하여 공동체 의식을 강화.

주요 구성
1.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운영되며, 공공과 민간의 협력 체계를 중심으로 복지 정책을 수립하고 자원을 연계합니다.
• 주로 지역의 복지 계획 수립과 실행 방안을 논의합니다.
2.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더 세부적인 지역 단위에서 운영되며, 취약계층 발굴, 지역 자원 연계, 주민 중심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여 실질적인 복지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주요 역할
1. 사회보장 계획 수립 및 지원
• 지역사회의 복지 실태를 분석하여 중장기 계획을 수립합니다.
2. 복지 사각지대 발굴
•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찾아내어 적절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자원 발굴 및 연계
• 민간 기업, 단체, 개인 등이 보유한 자원을 지역 복지에 활용.
4. 지역 주민 참여 활성화
• 주민이 직접 복지 활동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지원합니다.
5. 협력 네트워크 강화
• 다양한 기관 및 단체 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

운영 방식
• 위원회 형태로 운영되며, 민간 위원과 공공 위원이 공동으로 참여합니다.
• 정기 회의, 지역 실태조사, 자원 연계 활동 등을 통해 복지 현안을 다룹니다.
• 주민 제안 및 참여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시행합니다.

사례

예를 들어, 겨울철에 난방비를 지원받지 못하는 가구를 찾아 민간 후원 단체와 협력해 난방비를 지원하거나, 노인 돌봄이 필요한 지역에서 지역 자원봉사자와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합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 복지의 중심으로서 공동체의 힘을 모아 지역사회의 복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보장협의체.hwp
2.56MB

728x90
반응형